본문 바로가기
공공정보

노후 준비 필수, 기초연금·장기요양보험 완벽 가이드

by hbom 2025. 7. 1.
728x90
SMALL


2025년 기준, 기초연금과 장기요양보험은 노후 생활의 안정과 건강을 위한 핵심 복지제도입니다. 아래에서 자격, 신청 방법, 수급액, 필요 서류, 그리고 공식 정보 접속 링크까지 한눈에 정리합니다.

1. 기초연금

■ 지원 대상 및 수급 기준

  •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 국적 보유 및 국내 거주 어르신
  • 소득인정액:
    • 단독가구 월 2,280,000원 이하
    • 부부가구 월 3,648,000원 이하
      (2025년 기준, 소득·재산을 합산해 산정)
  • 수급액:
    • 단독가구 월 최대 343,510원
    • 부부가구 각 292,000원씩(총 584,000원)
      (국민연금 수급과 중복 가능, 단 직역연금 수급자 제외)5234

■ 신청 방법과 절차

  • 신청 시기: 만 65세 생일이 속한 달의 1개월 전부터 연중 신청 가능145
  • 신청 장소:
    •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
    • 국민연금공단 지사
    • 온라인: 복지로, 정부24
  • 필요 서류: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 통장 사본
    • 배우자 금융정보제공동의서(해당자)
    • 전·월세 계약서(해당자)
    • 소득·재산 관련 서류(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연금수령내역 등)
  • 신청 절차:
    1.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제출
    2. 소득·재산 조사
    3. 수급 자격 심사 및 결정(약 30일 소요)
    4. 승인 시 매월 25일 지급

■ 공식 정보 및 온라인 신청

2. 장기요양보험

■ 지원 대상 및 등급

  • 만 65세 이상 또는 65세 미만이라도 노인성 질병(치매, 뇌혈관질환 등) 진단자
  • 장기요양등급: 1~5등급 및 인지지원등급(치매 등)
  • 주요 서비스:
    • 방문요양, 방문간호,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시설 입소 등

■ 신청 방법과 절차

  • 신청 시기: 상시
  • 신청 장소:
  • 필요 서류:
    • 신분증
    • 진단서(65세 미만, 노인성 질환자)
    • 장기요양인정신청서(지사 비치)
  • 신청 절차:
    1. 신청서 접수 및 방문조사
    2. 등급 판정위원회 심의
    3. 등급 결정 및 결과 통보
    4. 서비스 이용 계약 및 개시

■ 본인부담금

  • 재가(방문요양 등) 15%, 시설 20%
  • 기초생활수급자 등은 본인부담금 감면 또는 면제

■ 공식 정보 및 온라인 신청

요약 및 신청 팁

  • 기초연금장기요양보험 모두 자동 지급이 아닌 ‘본인 신청’이 필수입니다.
  • 신청 자격, 필요 서류, 소득·재산 기준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 거동이 불편한 경우 국민연금공단의 방문 신청 지원 서비스도 이용 가능합니다4.
  • 공식 기관 홈페이지에서 최신 정보와 신청 절차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공식 정보 링크 한눈에 보기

노후 준비, 지금 바로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728x90
LIST